1. 거버넌스 체계 개요

🔷 분석 거버넌스 체계 개요

  • 거버넌스 (Governance) 는 '통치'라는 뜻으로 기업에서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의 분석과 활용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
  • 업무 프로세스, 정책 및 정보를 만들고 관리하는 지속적인 프로세스로 비즈니스 결과를 위한 전략, 활동, 조직 및 기술을 포함
  • 단순히 대용량 데이터를 수집 • 축적하는 것보다는 어떤 목적으로 어떤 분석을 수행하고, 분석을 위해 어떻게 데이터를 활용할 것인지 결정하고, 데이터 분석을 기업의 문화로 정착시키고 데이터 분석 업무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기 위해 데이터 관리 체계를 수립하는 것

 

🔷 분석 거버넌스 체계 구성 요소

♦️ 조직(Organization) : 분석 기획 및 관리를 수행

♦️ 과제 기획 및 운영 프로세스 (Process)

♦️ 분석 관련 시스템 (System)

♦️ 데이터 (Data)

♦️ 분석 관련 교육 및 마인드 육성 체계 (Human Resource)

 

2. 데이터 분석 성숙도 모델 및 수준 진단

① 데이터 분석 수준진단 개요

• 조직 경쟁력 강화를 위한 데이터 분석의 도입 여부와 활용을 위해 현 상태에 대한 명확한 점검 필요

② 분석 수준진단 목표

• 각 조직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분석 수준을 명확히 이해하고, 수준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목표수준 정의

 

🔷 분석 준비도 (Readiness)

: 기업의 데이터 분석 도입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진단 방법

 

[분석 준비도 평가(프레임워크)]

 

🔷 분석 성숙도 (Maturity)

 

 

 

🔷 분석 수준 진단 결과

[분석 준비도 및 성숙도 진단 결과를 4분면으로 구분]❤️❤️❤️

① 정착형 : 준비도는 낮은편, 조직, 인력, 분석, 업무, 분석 기법을 제한적으로 사용. 우선적으로 분석의 정착이 필요한 기업

② 확산형 : 6가지 분석 구성 요소를 모두 갖춤. 지속적 확산이 가능한 기업

③ 준비형 : 분석을 위한 조직 및 인력, 분석 업무, 분석 기법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사전 준비가 필요

④ 도입형 : 분석업무 및 분석 기법 부족, 조직 및 인력 등 준비도가 높음. 데이터 분석을 바로 도입할 수 있는 기업

 

 

3. 분석 지원 인프라 방안 수립

 

개별 시스템

① 시스템 간 자체적 데이터 교환

② 시스템별 독자적인 데이터 관리

③ 확장 시 시스템간 인터페이스 폭증

 

플랫폼 구조

① 분석 플랫폼을 활용한 공동 기능 활용

② 중앙집중적 데이터 관리

③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 최소화

 

(●'◡'●)

플랫폼 : 일반적으로 하드웨어에 탑재되어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프로그래밍 환경과 실행 및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 수행

 

4.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수립

🔷 데이터 거버넌스 구성요소

 

구성요소 : 원칙, 조직, 프로세스

 

중요 관리 대상

- 마스터 데이터 : 자료 처리에 기준이 되는 자료

- 메타데이터 : 다른 데이터를 설명해 주는 데이터

- 데이터 사전 : DB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를 요약

 

데이터 거버넌스 체계

① 데이터 표준화 : 데이터 표준 용어 설정, 명명 규칙(Name Rule), 메타데이터 및 사전 구축

② 데이터 관리 체계 : 효율성을 위함,  데이터 사전의 관리 원칙 수립

③ 데이터 저장소 관리 : 저장소 구성

④ 표준화 활동 : 모니터링, 표준 개선 활동

 

 

5. 데이터 조직 및 인력방안 수립

🔷 데이터 분석 조직 및 인력방안 개요

 

[분석조직]

목표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비즈니스 질문과 부합하는 가치를 찾고 비즈니스를 최적화하는 것
역할 전사 및 부서의 분석 업무를 발굴하고 전문적 기법과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
기업 내 존재하는 빅데이터 속에서 인사이트를 찾아낸다.
발견한 인사이트를 전파하고 이를 실행
구성 기초 통계학 및 분석 방법에 대한 지식과 분석을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인력으로
전사 또는 부서 내 조직으로 구성하여 운영

 

 

🔷 데이터 분석 조직 유형

 

♦️ 집중형

- 전사 분석 업무를 별도의 전담 조직에서 수행

- 내부에서 전사 분석과제의 전략적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함

- 현업 부서와 분석 업무가 중복/이원화 가능성 있음 (중복 업무 가능성 존재)⭐

 

♦️ 기능형

- 해당 부서에서 직접 분석 (DSCoE가 없음)

- 전사적인 관점에서 전략적 핵심 분석이 어려우며, 특정 현업부서에 국한된 협소한 분석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음

 

♦️ 분산형

- 분석 전문 인력을 현업 부서에 배치

- 전사 차원에서 분석 과제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수행

- 분석 결과를 빠르게 적용 가능

 

(●'◡'●)

DSCoE (Data Science Center of Excellence) : 분석 분담 조직

 

 

 

6. 데이터 분석 관리 프로세스 수립 

 

[분석 과제 관리 프로세스]

①②③ : 발굴 단계

④⑤⑥⑦ : 과제 수행 단계

 

 

① 분석 idea발굴

② 분석 과제 후보 제안

③ 분석 과제 확정

④ 팀 구성

⑤ 분석 과제 실행

⑥ 분석 과제 진행 관리

⑦ 결과 공유/개선

 

7. 분석 교육 및 변화 관리

🔷분석 교육 및 변화관리의 개요

  •  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은 적절한 분석 업무 도출
  • 가치를 높여줄 수 있도록 분석 조직 및 인력에 대한 지속적은 교육과 훈련 실시
  • 경영층이 사실 기반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변화관리를 지속적으로 계획하고 수행

🔷 분석 도입에 대한 문화적 대응

  • 과거에는 분석 업무를 기업의 분석가가 담당 ➡️ 현재는 모든 구성원이 데이터를 분석, 즉시 활용하는 분석 문화를 정착시키려 함
  • 새로운 체계를 도입할 때 도입 이전의 과거로 되돌아가려는 관성  존재 ➡️ 분석과 관련된 교육 및 마인드 육성을 위한 변화관리 필요

 

 

 

 

[참고 도서]

출처 :

이지패스 2024 ADsP 데이터분석 준전문가

2024 이기적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기본서